영화 밀정 소개 및 역사적 배경
2016년 개봉한 영화 <밀정>은 김지운 감독이 메가폰을 잡고 송강호과 공유가 주연을 맡은 작품입니다. 김동진 소설 <1923 경성을 뒤흔든 사람들>을 원작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영화는 1920년대 일제 강점기의 조선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1919년 3.1운동 이후 일본은 무단통치 방식을 버리고 문화통치 방식으로 조선을 장악하는 방법을 선택합니다. 그러면서 다양한 독립비밀단체가 생겨났는데 그 중 의열단이 이 영화의 소재로 쓰입니다.
생활고에 힘들지만 독립을 위해 싸우는 독립투사들과 일본을 등에 업고 민족을 배신한 자들의 갈등, 같은 민족끼리 속고 속이는 심리적 드라마는 관객에게 큰 긴장감을 안겨주며, 그 시대의 치열한 숨막히는 상황을 잘 묘사하고 있습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영화 <밀정>의 주요 줄거리와 핵심 요소를 살펴보겠습니다.
영화 밀정 줄거리
1. 밀정의 역할과 심리적 갈등
영화 속에서는 그 당시 시대적 배경이 사람을 얼마나 인간답지 못 하고 삭막하게 살아야 하는지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정출(송강호)는 일본 경찰로서 조선 독립운동을 추적하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우연한 계기로 자신이 소속된
조직을 속이고 의열단은 돕는 행동을 합니다. 그의 내면에서는 일본 경찰의 명령을 따르면서도 독립운동가들에 대한 연민과 동질감을 느끼는 복잡한 감정선이 흐릅니다. 이정출(송강호)는 자신이 밀정으로서 해야 할 임무와 인간적인 감정 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합니다.
이 갈등은 영화의 중심이 되는 중요한 요소로, 관객에게 밀정의 심리 상태를 실감 나게 전달합니다.
2. 독립운동과 밀정의 충돌
일본의 문화통치가 시작되며 헌병경찰제가 폐지되고 보통경찰제가 시행되었습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일본의 감독과 감시가 줄어든 듯 보이지만 경찰의 수를 늘리고 사복경찰을 투입하는 등
은밀하게 진행되고 있는 독립운동을 막으려는 일본의 속셈이 있었습니다.
오래된 독립운동으로 배고프고 힘든 독립운동가들 사이에도 밀정이 생기고 동료를 파는 일들이 있었습니다.
그런 내용이 영화 밀정에 잘 담겨 있습니다.
이정출의 밀정으로서의 역할과 인간적인 감정, 그리고 자신이 속한 두 집단에 대한 충성심이 충돌하면서 영화는 예측할 수 없는 전개를 보입니다.
영화는 밀정과 독립운동가 그리고 일본 경찰 사이의 긴장감을 영화 끝까지 놓지 않게 합니다.
3. 영화 와 음악
영화 밀정의 주요부분, 슬로우 모션으로 집중하며 보게 되는 부분에는 명곡들이 사용되었습니다.
영화 밀정에 사용된 음악에는 "when you're smiling" by Louis Armstrong , "bolero" by Andre Rieu, "Slavonic Dances Op 72 No. 2 in Eminor - Allegretto Grazioso", "Piano Sonata No. 16 in Aminopr D845"가 있습니다.
모두 들어보면 한 번씩은 들은 적이 있을 법한 유명한 명곡들이죠.
이런 명곡들과 영화의 한 장면 한 장면들이 겹쳐지면서 길고 깊은 여운을 남기게 됩니다.
우리에게 주는 의미
우리들은 학교에서 역사를 배웁니다.
그저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 하나의 과목으로 공부했던 과거와 달리
많은 역사 영화와 다큐멘터리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역사 공부의 필요성을 많이 느끼는 거 같습니다.
영화 밀정도 아픈 우리 역사를 보여주는 영화로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친 우리 선조들의 노력과 헌신 덕분에 현재 우리가 우리의 역사를 써 내려가고 있음을 다시 한 번 느끼게 해주고 있습니다.
영화 밀정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주제는 공동체 정신 입니다.
독립운동가들은 나라의 독립을 위해, 전체를 위해 개인의 희생을 자처했던 분들입니다.
과연 나도 저 상황에 있다면, 내가 살기 위해 동료를, 가족을 배반하지 않을 수 있을까?
사회가 점점 개인화 되어 가고 개인화를 넘어 이기적으로 되어 가는 현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는 과연 얼마나 주변 사람들에게 관심을 갖고 있는 지, 자신이 하고 있는 행동이 개인주의를 넘어 이기적인 행동은 아닌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